3040 남성 절반이 비만인데 …"나 살쪘어" 경각심은 여성보다 낮아

Nov 10, 2025 IDOPRESS
질병관리청 2024년 건강조사성인비만율 10년새 26%→34%치솟은 男비만율, 여성의 1.8배

질병관리청 2024년 건강조사


성인비만율 10년새 26%→34%


치솟은 男비만율,여성의 1.8배

국내의 만 19세 이상 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전엔 4명 중 1명꼴이었는데 약 30.8% 증가했다. 특히 40대 남성은 2명 중 1명이 비만일 정도로 비만율이 심각했다.


질병관리청이 이 같은 내용의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질병청이 매년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올해는 성인 약 23만명을 대상으로 했으며,조사 응답을 기반으로 산출된 비만율이 활용됐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비만율은 최근 10년 새 꾸준히 증가했다. 2015년 26.3%였던 비만율은 지난해 34.4%로 증가했다.


비만율은 남성 41.4%,여성 23%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 1.8배 높았다. 남성은 30대(53.1%)와 40대(50.3%)에서 비만율이 높았고,여성은 고령층인 60대(26.6%)와 70대(27.9%)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광역시도별로도 차이가 있었다. 비만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전남(36.8%)과 제주(36.8%)였으며,가장 낮은 곳은 세종(29.1%)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전국 17개 모든 광역시도에서 비만율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전남은 가장 큰 증가폭(11.4%포인트)을 보였으며 울산과 충남이 그 뒤를 이었다. 세종과 대전,강원은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낮았다.


3개년 평균 시·군·구별 비만율을 살펴보면 충북 단양군(44.6%),강원 철원군(41.9%),충북 보은군(41.4%) 순으로 높았고 경기 과천시(22.1%),대전 서구(23.1%),대구 수성구(23.7%) 순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단양군과 가장 낮은 과천시의 비만율은 2배 차이가 났다.


질병청은 "전 세계적으로 비만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건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36.5%)는 OECD 평균(56.4%)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생활습관 변화와 서구화된 식단의 영향으로 비만율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어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맞춤형 건강 관리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조사에서는 실제 체형과 인식 간 차이가 있는지도 물었다. 우리나라 전체 성인 인구에서 약 2명 중 1명(54.0%)은 주관적으로 자신이 비만이라고 답했다. 비만인 사람들 중에서 자신이 비만하다고 인식한 비율은 남성 77.8%,여성 89.8%로 대부분은 스스로 비만임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재원 기자]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Novo Nordisk A/S

NVO,NYSE

Amgen Inc.

AMGN,NASDAQ

한미약품

128940,KOSPI

443,500

+ 1.03%

종근당

185750,

KOSPI

83,300

+ 1.09%

Novo Nordisk A/S

노보 노디스크는 GLP-1 계열 비만 치료제인 '삭센다'와 '위고비'를 개발 및 판매하는 글로벌 제약사입니다. 국내 성인 비만율이 최근 10년간 꾸준히 증가하였으며,특히 30대와 40대 남성에서 절반 이상이 비만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러한 비만 인구 증가와 생활습관 변화,서구화된 식단 등 구조적 요인에 따라 예방 및 치료 목적의 의약품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 치료제는 국내외 의료기관에서 처방 빈도가 높아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비만율 증가와 맞춤형 건강관리 정책 강화 필요성은 해당 기업의 비즈니스와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Amgen Inc.

암젠은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GLP-1 계열 비만 치료제 및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은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과 항체의약품,희귀질환 치료제 등이며,대규모 생산시설과 연구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내 비만율이 최근 10년간 꾸준히 증가하여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에 해당하며,남성의 비만율이 특히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만율 증가는 대사질환 치료제 시장의 성장과 연관되며,암젠이 추진 중인 비만 및 당뇨 치료제 개발 전략과 관련이 있습니다. GLP-1 계열 신약 개발 및 글로벌 임상 확대는 비만 인구 증가에 대응하는 기업의 사업 방향과 일치합니다.


외부 환경으로는 글로벌 신약 경쟁,규제 정책 변화,원자재 및 생산비용 변동,환율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합니다. 최근 실적은 신제품 출시와 기존 제품의 시장 확대에 힘입어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신약 파이프라인의 진척과 글로벌 시장 확장이 주요 성장 요인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한미약품

현재가 443,500

+ 1.03%

11.10 15:30

한미약품은 국내 대표 제약사로,대사질환 치료제와 비만 관련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은 전문의약품 제조 및 판매,신약 연구개발,기술수출 등이며,강력한 국내 영업망과 글로벌 기술수출 경험이 경쟁력으로 꼽힙니다.


국내 비만율은 최근 10년간 꾸준히 증가하여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에 해당하며,남성의 경우 30대와 40대에서 비만율이 절반을 넘는 등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만율 증가는 대사질환 및 비만 치료제 개발 사업의 중요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외부적으로는 정부의 건강보험 정책,신약 허가 및 규제 환경,글로벌 제약사와의 경쟁,원가 구조 변화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합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종근당

현재가 83,300

+ 1.09%

11.10 15:30

종근당은 국내 제약업계에서 대사질환 및 비만 관련 의약품,건강기능식품 개발에 강점을 가진 기업입니다. 주력 사업은 전문의약품,일반의약품,건강기능식품 제조 및 판매이며,전국적 유통망과 연구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내 성인 비만율이 최근 10년간 꾸준히 증가하여 2024년에는 약 3명 중 1명(34.4%)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남성의 비만율이 여성보다 높고 30~40대 남성에서 특히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만 인구의 증가와 생활습관 변화는 건강기능식품 및 관련 의약품 수요 확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외부적으로는 건강보험 정책,규제 변화,소비자 건강 인식 변화,원자재 가격 변동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합니다. 최근 실적은 전문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부문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신제품 출시와 유통망 강화가 실적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AI 추천 질문Beta

Powered by

perplexity

성인 비만율 지속 증가의 사회적 배경은?

생활습관 변화와 서구화된 식단이 건강에 미칠 영향은?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