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무용단이 세종문화회관 연습실에서 ‘미메시스’를 시연하고 있다. 세종문화회관 서울시무용단 내달 6일부터 나흘간 ‘미메시스: 자연을 담은 8개의 춤’을 초연한다. 우리나라의 전통춤 8가지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해 선보이는 무대다.
‘미메시스(Mimesis)’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미학 개념인 예술의 재현을 뜻한다. 이에 맞게 전통춤의 음악과 의상 등 형식을 새롭게 구성하며 춤의 본질을 중심에 뒀다.
최근 세종문화회관 연습실에서 열린 시연회에서 윤혜정 서울시무용단장은 “모방을 통해서 전통의 본질을 재현하고 창작해 재창작하는 과정을 무대 위에 올려보고자 제목을 미메시스로 정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번 작품은 한국 전통춤의 움직임과 자연의 흐름을 연결해 구성했다. ‘소고춤’에서는 땅,‘장검무’에서는 번개를 상징하는 등 각 춤이 자연 요소와 대응된다. 여덟 개의 장은 물(교방무),바람(한량무),땅(소고춤),번개(장검무),허공(살풀이춤),하늘(승무),불(무당춤),빛(태평무)으로 이루어진다.
음악은 전통악기의 라이브 연주로 진행된다. 음악감독 유인상은 “무당들의 각 지역에서 대표할 수 있는 음악의 포인트를 끄집어내 구성했다”고 말했다.
이번 작품에는 TV프로그램 ‘스테이지 파이터’에 출연했던 무용구 기무간이 참여해 관심을 끈다. 기무간 씨는 “최근 다채로운 움직임을 탐구하고 작업을 이어가다 보니 전통춤을 조금 멀리 두게 된 게 사실”이라며 “오랜만에 전통춤을 출 수 있는 기회가 와서 반가운 마음”이라고 밝혔다.
의상은 디자이너 김지원,장신구는 스타일리스트 최다희가 제작했다. 한복의 기본 구조를 유지하되 비례와 겹침,해체 기법 등을 활용해 각 춤의 특징을 표현했다. 교방무의 시스루 헤드피스,한량무의 박쥐 문양 갓,소고춤의 고깔 등 다양한 장신구가 사용된다.
오정윤 서울시무용단 부수석단원은 “그간 전통 춤 공연을 준비할 때는 기존 것을 답습한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지만 이번 공연에서는 살아있는 춤을 만드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